본문 바로가기

기술(技術)

크롬을 사용하는 이유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인터넷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활용해야만 한다. 인터넷 포털 사이트를 이용하여 인터넷 브라우저를 검색해보면 다양한 프로그램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데, 개인의 취향에 맞는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필자는 개인적으로 '크롬'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크롬은 구글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하여 서비스하는 인터넷 브라우저 프로그램으로 그 활용도가 높다는 생각을 개인적으로 해본다. 크롬을 사용하기 전에는 주로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사용했으며, 다음에는 엣지를 사용하여 인터넷 서핑을 즐기곤 했다. 방금 언급한 인터넷 익스플로러 프로그램을 활용하여도 불편함 없이 인터넷을 즐길 수 있는데, 간혹 원하는 기능에 대한 아쉬움이 존재하는 경우가 발생하곤 했다. 다시 말해, 확장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느끼는 경우가 종종 있었는데, 크롬의 경우 이러한 확장프로그램이 제법 잘 마련되어 있다는 생각을 해본다. 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일까. 인터넷 쇼핑, 인터넷 커뮤니티를 이용한 정보의 교류, 블로그, 그 밖의 다양한 sns 혹은 공유 서비스인 클라우드 서비스등이 인터넷을 활용하는 주된 목적일 수 있다. 초기에는 아주 조금의 활동범위를 가지고 활용하고 있기에 데이터를 활용하는데 있어 혼란스러움이 가중되지는 않지만 지속적으로 활동을 이어가는 과정에서 수많은 데이터가 축적되는 괴정을 경험한다. 여기서 말하는 데이터는 가입한 카페 혹은 활용하는 사이트들, 블로그들, 또는 sns 페이지가 있을 수 있다. 북마크를 이용하여 바로가기를 등록해두면 필요할 때 '검색'이라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조금은 편리할 수 있다. 북마크 혹은 즐겨찾기를 통해 등록한 사이트는 윈도우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등록할 수 있는데, 이렇게 등록된 바탕화면의 모습은 조금은 지저분할 수 있지만 사용에 있어 편리함을 가져다 주기도 한다. 하지만, 지저분한 데이터의 모습은 지속적인 데이터 누적에 도움이 되지 않는데, 만약 이런 데이터를 정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면 좋을 것이다. 역시나 필요한 것은 프로그램화 되어, 사용자의 간편한 조작 혹은 자동화된 정리가 되어준다면 무엇보다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음은 불보듯 뻔한 일이 될 수 있다. 크롬 브라우저는 웹앱이라 불리는 확장프로그램이 존재한다. 핸드폰을 사용하다보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구글플레이스토어와 같은 중계 앱을 통해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다. 개중에는 유료도 있지만, 무료로 서비스되는 어플리케이션도 충분히 좋은 기능을 보여주는 프로그램들이 존재한다. 크게 불편함없이 원하는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안드로이드 폰의 큰 장점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사용한것 처럼, 앞에서 언급한 크롬 브라우저의 확장프로그램을 찾아 설치하면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 지금은 크롤링에 대한 정보가 많이 오픈되어 있어 사진을 다운받거나,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글, 데이터를 대량으로 수집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파이썬을 이용하여 간단한 코딩을 진행하면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데, 기술에 대한 정보가 다량으로 오픈된 순기능일 수 있다. 하지만, 과거에는 이정도의 기술 정보는 없었고, 간편하게 마련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도움을 받기도 했다. 외부의 윈도우 프로그램 혹은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었던 것인데, 크롬 확장 프로그램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기능들이 존재했다. 유치원을 다니는 자녀의 사진은 유치원 홈페이지에 사진이 개시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사진을 다운받기 위해서는 각 페이지를 일일이 찾아가야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할 수 있다. 확장 프로그램 중에는 해당되는 페이지의 모든 사진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는 프로그램도 존재한다. 잘만 이용하면 우리의 인터넷 사용에 있어 보다 편리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크롬 브라우저의 매력은 한층 높아지는 것 같다. 다만, 너무 많은 확장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경우는 크롬을 다소 느리게 만들 가능성이 있기에 불필요한 프로그램은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한 활용 방법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마치 과도한 어플이 설치된 핸드폰이 느려지는 것과 같은 모습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