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술(技術)

인터넷 ip가 전해주는 정보는 무엇이 존재할까

우리는 언제나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어떤 기계가 전세계에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생겨난 상황이라 할 수 있는데, 특별히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 기계는 '스마트폰'으로 이름과도 어울리게 상당히 똑똑한 핸드폰을 의미하고 있다. 무엇보다, 그 활용도가 상당히 좋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스마트폰의 성능은 발달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인터넷의 발달과 관련 기계의 발달은 결과적으로 우리에게 편리한 생활을 제공해주고 있는데, 이런 편리한 인터넷의 연결은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일까. 우편물이 상대에게 전달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고유 주소를 필요로 하게 된다. 주소가 잘못되면 전달될 우편물도 엉뚱한 곳으로 가기 마련이다. 인터넷도 현실에서와 같이 고유 주소를 가지고 있다. 이런 인터넷의 고유한 주소를 ip라고 부른다. 가령 예를 들어, 웹브라우저를 통해 'google.com'이라고 입력하면, 구글의 메인 홈페이지를 방문할 수 있는데, 'google.com'이라는 도메인과 ip가 연결되어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만약 도메인 개념이 없다면 우리는 google.com을 방문하기 위해서 고유 숫자들을 외우고 다녀야만 한다. ip는 일반적으로 12자리의 수로 이루어져 있는데, 도메인 개념이 없다면 인터넷 활용이 상당히 불편해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시간에 알아보기로 하고, ip라는 인터넷 고유 주소에 대해서 생각해 보도록 하겠다. ip address라고 불리는 인터넷 고유 주소는 모든 인터넷 활용에 필수적인 것이다. 앞서 언급한 것으로는 접속대상이 되는 사이트에 필수적이라는 것으로 되지만, 접속자 혹은 이용자에게도 ip 주소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용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그램 혹은 단말기를 이용해 서버에 접근해야한다. 서버에서는 ip와 도메인을 검색해 사용자가 원하는 웹페이지와 연결 시켜 준다. 웹페이지는 어떤 개인 서버에 존재할 수도 있고, 가상공간에 운영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사용자가 특정 서버에 접속을 해야만 하는 것이다. 즉, 여기에 서버에서 인정한 통로가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된다. 길이 없다면 연결될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이 서버에서 인정한 통로가 바로 사용가 단말기의 고유 ip 주소가 되는 것이다. 그렇기에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운영자는 자신의 사이트에 접속한 방문자들의 ip주소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우리는 인터넷을 활용하면서 본연의 고유 주소를 노출하게되는데, 과거에는 이런 노출되는 ip 주소를 이용해 해킹에 이용한다는 이야기도 존재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서버에서 할당된 ip 주소는 고유하기에 가능할 수 있지만, 현재의 보안 체계 ip 주소의 비밀이 보장될 수 있다고 한다. 다시 말해, ip주소만을 이용한 해킹의 우려는 일반인들이 굳이 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된다. 그렇다면 우리가 인터넷을 활용하는 가운데 노출되는 정보는 ip 주소로 국한될 수 있을까. 꼭 그렇지는 않다. ip 주소를 통해 해당 사이트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활동을 지속할 때, 우리는 사용하는 웹브라우저 프로그램을 통해 몇몇가지의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그 정보는 user agent라는 값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되는 정보로 접속할 당시 기기의 운영프로그램, 사용하는 프로그램의 버전 및 관련 프로그램의 버전등의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고 한다. 다시 말해, 크롬을 이용하고 있다면 사용하는 크롬브라우저의 버전을 사이트의 서버에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윈도우인지 맥인지 혹은 다른 웹브라우저의 버전등에 대한 정보도 포괄적으로 전달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서버의 연결은 필수적인 부분이다. 따라서, 회선을 중계해주는 중계기도 필요로 하게 된다. 지금은 무선 통신이 발달하여 무선 중계기를 주로 이용하게 되는데, 중계기 관리를 위해서도 그 중계기가 설치된 주소는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즉, 특정 중계기를 이용한 경우, 대략적인 주소의 위치도 파악할 수 있게된다. 인터넷 서비스 중에서 지역에 관련된 서비스는 이러한 ip와 서버의 위치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다만, 개인이 생활하는 공간은 개인정보로 보호받아 마땅하기에 정확한 주소지에 대한 정보는 아무나 확인할 수는 없다. 이 부분이 궁금한 사람들은 'ip 주소 확인'이라는 검색어를 통하여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접할 수 있을 것이다. 정리하자면 인터넷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의 노출은 ip주소, 사용하는 프로그램의 정보 그리고 주소지 정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