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pc라고 부르는 데스크톱의 경우 퍼스널컴퓨터로 마우스, 키보를 이용한 입력신호장치와 모니터라는 출력장치를 연결해야 올바른 사용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운영체제 프로그램으로 윈도우, 리눅스등이 존재하는데 개인의 취향에 따라 활용하는 방향성에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현대인들의 하루 시간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스마트폰의 경우는 pd와는 달리 '안드로이드', 'ios'라는 운영체제를 이용하며 그 구성에는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pd의 경우 데이터를 외부저장장치에 옮긴 후, 타 pc에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되지만 스마트폰에서의 활용에는 한계성을 보이기도 한다. 더욱이 자체적인 프로그램은 서로가 호환되지는 않는 경우가 많이 존재한다. 프로그램이라 부르면 pc를 대표적으로 의미하며, 어플리케이션이라고 하면 스마트폰에서 활용되는 프로그램을 주로 말하고 있는데, 고유명사화되었을 뿐 모두가 어플리케이션이기도 하다. 어쨌든, 이런 독립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 pc와 스마트폰의 경우 특정 프로그램을 통해 연결할 수 있다. 'adb'라고 하는 브릿지 프로그램인데, dos에서 운영되는 명령어들을 통해 스마트폰을 디버그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의 이름이라 할 수 있다. 우선은 adb의 필요성에 대해 생각해 보자. 핸드폰과 cp를 연결하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핸드폰의 수리 혹은 상태확인과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폰은 직관적이고 편리한 반면, 보다 세밀한 정보를 파악하는데는 한계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폰의 오류, 기기들의 상태를 정밀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우리의 육안으로 확인되는 외부적인 상태보다는 언더의 언어로 이루어진 명령어를 필요로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pc에서 cmd를 활용해 체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데,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서로가 독립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그에 맞는 다리 역할을 해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수적이다. 일반인도 몇몇 명령어들을 숙지하면 adb를 통해 재미있는 실험을 진행해 볼 수 있다. 어떤 유튜브에서는 adb와 scrcpy를 이용해 핸드폰용 매크로 프로그램을 만들어 시연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매크로 프로그램이란 반복되는 동작을 컴퓨터가 대신 실행해 주는 프로그램으로 업무 자동화 혹은 업무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 영상에서는 핸드폰 화면을 pc 모니터를 통해 전송받고, 그 화면을 조작하는 것으로 핸드폰에 직접적인 조작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을 보이고 있다. 다시 말해, 앞서 언급한 매크로 프로그램은 핸드폰에서 구동되는 것이 아닌, pc에서 구동되어 진행한다. 그 신호를 핸드폰이 받아들여 마치 핸드폰에서 직접 조작하는 것과 같은 모습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활용된 프로그램이 언어 또한 python인 것을 보면, python에 대한 정보는 이미 인터넷에 충분히 공유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adb를 다운로드 받아 환경변수 설정을 진행한다. 환경변수는 cmd에서 'adb'라는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관련 프로그램이 구동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으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환경변수가 설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cmd에 adb 명령어를 입력해도 해당되는 브릿지는 실행되지 않고, 알수없는 명령문이라는 출력을 받을 것이다. scrcpy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adb를 설치한 후 scrcpy 파일을 새로이 설치해주면 준비는 끝나게 된다. 모든 준비가 끝나면 cmd 창에서 adb 서버를 구동하고, scrcpy 명령어를 통해 핸드폰 화면을 pc모니터로 전송받아 활용하면 되겠다. 물론, 그전에 핸드폰과 pc가 서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어야함은 당연한 이야기이다. 과거에는 usb를 통해 pc에서 핸드폰에 접근하는 신호를 송수신했지만, 현재의 경우에는 무선통신 wifi를 이용하여 pc와 핸드폰을 이어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핸드폰에서는 usb 테더링이라는 설정으로 진행하면 핸드폰의 인터넷 신호를 pc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느데, 인터넷을 사용하기 어려워진 상황에서는 충분히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핸드폰에서는 특정 신호를 보내는 pc의 고유키를 인식하게 된다. 이 키를 가진 pc와의 연결을 승인하지 않으면 연결할 수 없게되므로, 모든 작업이 준비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연결이 올바르지 않다면 pc와의 연결을 핸드폰에서 승인했는지를 파악해보는 것으로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기술(技術)'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강좌 vs 파이썬 독학 어느것이 좋을까. (0) | 2021.01.18 |
---|---|
인터넷 ip가 전해주는 정보는 무엇이 존재할까 (0) | 2021.01.18 |
python 자동화 머신을 준비하기 위한 selenium (0) | 2021.01.18 |
첨단 기술의 이용, 과학수사란 어떤것을 말하는 것일까 (0) | 2021.01.06 |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정에서 활용가능한 편리한 기술 (0) | 2021.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