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들은 다양한 스마트기기를 사용하곤 합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대표되는 것이 바로 '스마트폰'일 수 있습니다. 손바닥만 한 크기의 스마트폰은 인터넷, 게임, 음악 감상, 영화 감상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런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되는 것은 다름 아닌 무선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무선인터넷(와이파이)의 전파가 닿는 곳이라면 어디서든 인터넷 세계를 탐험할 수 있다는 점은 초창기 스마트폰이 등장할 때부터 많은 사람들에게 호평을 받는 부분이기도 했습니다.
단순하게 생각해 볼까요. 인터넷을 하기 위해서는 데스크톱 pc, 다시 말해 컴퓨터를 이용하면 가능한 일입니다. 다만 휴대하기가 쉽지 않다는 불편함이 있는데, 이 부분은 노트북과 같은 소형 컴퓨터를 이용하면 해결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여기서 또 하나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데 바로 휴대가 편리하지 않다는 것이며, 장소를 구분할 필요성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노트북의 크기가 작아져도 탁자와 같은 부가적인 도움이 필요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스마트폰은 이러한 장소와 공간의 제약을 크게 벗어나 자유로움을 선사해준 기기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초기에는 무선인터넷 통신망이 크게 발달하지는 않았습니다. 기본적으로 해당 기기와 통신사간의 사용량 계약에 맞춰 사용하곤 했지만 점차 무선인터넷 (와이파이)의 통신망이 발달하기 시작했습니다. 다시 말해, 어디서든 무선인터넷 회선을 잡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제는 각 가정에서 하나 이상의 공유기를 활용해 집 내부의 홈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해 놓고 활용하는 경우도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이기도 합니다.
그만큼 무선 인터넷에 대한 기술은 발달하였으며, 웬만하면 어디서든 와이파이 신호를 찾아 인터넷 연결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무선인터넷 환경을 만드는 기본적인 방법은 iptime과 같은 공유기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인터넷 신호를 보내주는 회사의 ip신호를 다시금 여러 대의 기기로 연결할 수 있도록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공유기입니다. 이 공유기는 과거 유선 신호에만 적용되기도 했지만, 이제는 무선 신호에도 적용시켜 기본적인 모델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대략적인 거리는 10m의 신호 거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직선거리에서 장애물이 없다면 빠른 속도의 인터넷을 즐길 수 있습니다. 만약, 문과 같은 장애물이 존재한다면 연결 속도에서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즉, 일정 거리에 있다면 어떤 스마트기기든지 해당 신호를 잡을 수 있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지인, 가족을 제외한 타인의 경우에도 손쉽게 해당 신호를 이용해 인터넷을 할 수 있습니다.
공유기를 구매하는 비용을 제외하고는 타인의 연결에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공유기 프로그램이 연결 속도를 설정하고, 조절해주기 때문에 크게 영향을 끼치지도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인의 무분별한 인터넷 연결은 조심해야 할 부분이기도 합니다. 바로 외부에서의 네트워크 침입이 가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정에 마련된 네트워크에 침입해, 연결된 기기들의 정보를 확인하거나 오작동시킬 우려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만약, 상당히 중요한 보안 파일이 컴퓨터에 있다면, 그리고 그 파일이 유출되어서는 안 된다면 타인의 네트워크 침입으로 곤란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더욱이, 개인정보 유출과 같은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상당히 곤란한 상황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네이트 워크 보안에 신경을 써야만 합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무선 인터넷 보안 방법은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대다수의 공유기는 내부 프로그램을 통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기기들에게 비밀번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92.168.0.1이라는 url로 접속을 하면 공유기 내부 프로그램으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보안에 관련된 메뉴를 이용하여 해당 공유기에 접속할 경우 비밀번호를 묻는 항목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이 완료되면 처음 접속하는 모든 기기들은 비밀번호를 입력해야만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네트워크에 대한 외부 침임에 대해서 큰 피해를 보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습니다. 현재의 경우에는 그럴 수 있지만 앞으로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어떻게 변할지 알 수 없는 부분이 기기도 하며,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기기의 오작동을 막기 위해서도 무선인터넷의 비밀번호 설정은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습니다.
'기술(技術)' 카테고리의 다른 글
QR코드를 만들어 자신만의 링크주소를 공유하는 방법 (0) | 2021.06.13 |
---|---|
핸드폰 미러링 시스템을 이용하면 할 수 있는 일들 (0) | 2021.06.13 |
핸드폰 파일을 데스크톱 pc로 옮기는 3가지 방법 (0) | 2021.06.11 |
컴퓨터 프로그램 코딩에서 수학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0) | 2021.05.21 |
과학기술의 발달 흐름과 우리 삶에 끼치는 영향. (0) | 2021.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