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를 사용해 다양한 검색 및 작업을 진행하다 보면 화면 캡처의 필요성이 종종 있습니다. 특히나, 블로그 혹은 사이트 게시글을 작성하는 경우, 어떤 설명에 맞는 이미지 혹은 프로그램 화면을 첨부해 읽는 이로 하여금 잘 이해가 될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기도 합니다. 기본적으로 캡처 프로그램은 우리가 모니터로 확인할 수 있는 순간의 화면을 이미지 파일로 만들어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컴퓨터가 보급되고 Dos 모드에 윈도와 같은 시각적인 인터페이스를 활용할 수 있는 운영체제가 보편화되면서 캡처 관련 프로그램의 사용 빈도는 높아져 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윈도에는 기본적으로 '캡처 도구'라는 프로그램이 같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해 특정 영역 캡처, 전체 화면 캡처 등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며, 캡처한 이미지를 가볍게 편집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되고 있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 또한 간편합니다. 캡처 도구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원하는 캡처 기능을 사용하여 컴퓨터 화면을 이미지 파일로 만드시면 됩니다. 간단한 편집(표시, 글씨 등)을 거쳐 특정 확장자로 저장을 하면 해당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캡처 도구 이외에 전체화면을 캡처할 수 있는 단축키가 기본적으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키보드 오른쪽 상단에 있는 기능키인 'PrintScreen' 버튼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해당 기능키를 누르면 당시 모니터로 보이는 전체 화면을 클립보드에 복사할 수 있습니다. 그림판과 같은 편집 툴에 붙여 넣기를 하면 캡처된 전체 화면 이미지를 불러올 수 있으며, 편집 프로그램에서 원하는 편집을 거쳐 이미지 파일을 저장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합니다.
윈도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대표적인 캡처 방법으로 많은 양의 캡처 작업을 진행하지 않는다면, 앞에서 언급한 방법으로도 충분히 높은 효율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다만, 스크롤 캡처 또는 원하는 영역 캡처 단축키와 같은 기능은 별도의 프로그램을 활용해야 합니다.
과거, 인터넷에 존재하는 콘텐츠의 형식은 길지 않았습니다. 큰 이미지, 넓은 영역, 아래로 지속되는 내용 등의 특징보다는 꽉 찬 화면으로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앞에서 언급한 내용은 모바일 환경에 특화된 콘텐츠의 형태를 대변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컴퓨터 환경에 맞춰진 콘텐츠의 형태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특정 자료의 경우 한 화면으로는 내용을 다 담을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같은 경우에는 아래로 스크롤을 내려가며 캡처 되는 기능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만약 그런 기능이 없다면 부분적으로 캡처를 한 후, 이미지들을 이어 붙이거나 순서대로 나열하는 방법으로 첨가해야 보는 이들에게 정확한 내용 전달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단축키의 활용은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편리합니다. 윈도의 프린터 스크린 기능키의 경우 전체 화면을 캡처하는 것이기에 후속적인 편집이 필수적인 요소가 됩니다. 반면, 특정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캡처를 단축키로 활용할 수 있다면 작업의 효율이 높아질 수 있으며 상당히 편리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해당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라이트샷', '픽픽', '알 캡처'등의 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언급된 3가지의 프로그램의 경우 단축키를 이용해 캡처를 진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스크롤 캡처의 경우에는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있는 반면, 지원되지 않는 프로그램도 존재합니다. 해당 부분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달리 선택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프로그램의 장단점에 대해서는 타인의 견해보다는 직접 체험한 후 확인해보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사람의 개성이 다양하듯 개인에 따라 프로그램의 장단점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누군가에게는 불편한 특징이 다른 이 에게는 편리한 측면으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해당 프로그램들을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설치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해야 합니다. 각각의 프로그램을 서비스하는 회사에서는 공식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사용해보고 싶은 캡처 프로그램 이름으로 검색을 하면 쉽게 공식 사이트를 찾을 수 있습니다. 해당 사이트를 방문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이용해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유료버전인지 무료 버전인지 확인해보는 것입니다. 아직 프로그램을 특정 짓지 못했다면 무료 버전을 사용해본 후 유료 서비스를 선택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캡처는 사용하는 컴퓨터 화면을 이미지로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편리한 도구이지만, 대상이 되는 컨텐츠는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는 것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작권에 대한 내용을 간략하게나마 숙지하신 후, 사용목적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만든 콘텐츠가 소중하듯, 타인의 콘텐츠도 지켜줘야 하는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기술(技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 시작화면 설정으로 웹브라우저 쾌적하게 사용하기. (0) | 2021.05.12 |
---|---|
배터리 기술과 led 전등 기술의 발달이 가져온 편리함 (0) | 2021.05.11 |
이미지 최적화란 어떤 것을 의미하는 것일까 (0) | 2021.05.10 |
파이썬, print로 코드 결괏값을 깔금하게 확인하기 (0) | 2021.01.19 |
크롬 브라우저 사용의 장점 (0) | 2021.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