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프로그램은 데이터를 정리하고, 각종 데이터를 관리 보관 분석하는데 특화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그 활용성이 높아 전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업무를 진행하는데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한다고 할 수 있는데, 사실상 생각해보면 너무나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는 부분도 있다. 국내에서 사용하는 워드 프로그램으로 대표적인 것은 '한글'이라는 프로그램이다. 물론, 마이크로소프트의 워드를 이용하는 사람도 적지 않으며, 인터넷 웹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노트 형태의 문서작업프로그램을 활용하는 사람도 많다. 우선은 인터넷 상에서 활용하는 노트의 장점은 연동의 가능성이다. 가령 예를 들어, 블로그 및 카페에 글을 작성한다고 생각해보면 api를 이용하여 연동을 지원하는 노트 프로그램을 이용해 어디서든 글을 작성하고 수정 보완하여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블로그 혹은 카페에 게시글을 올릴 수 있다고 한다. 물론, 직접적으로 활용해본 것은 아니기 때문에 체감되는 그 편리함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지못한다. 어쨌든, 이렇게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은 차이를 보일 수 있지만, 데이터를 관리하는데는 엑셀이 특화되어 사용된다. 우선은 표를 작성하는데 번거로움이 없다. 셀로 구성되어 있는 엑셀의 경우 기본적으로 인터페이스 자체가 표로 이루어져 있다. 인쇄를 실행하기 전 셀의 테두리만 조절하면 간편하게 표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이 상당히 큰 매력이라 할 수 있다. 워드프로그램도 표를 작성할 수 있지만, 표 자체를 기본적으로 그려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 하나의 장점은 다양한 서식과 그래프 지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밖에 함수등의 데이터를 관리하는데 편리한 기능들도 한몫하는 부분일 수 있는데, 개인적으로 매크로 기능이 있다는 점을 가장 큰 장점으로 생각한다. 매크로란 사람이 하는 반복되는 작업을 컴퓨터가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 특정 영역의 셀의 외곽선을 매번 사람이 설정하는 것도 어려운 일은 아니지만 그 작업이 100개가 넘어가면 지루하고 효율이 떨어지는 작업이 될 수 밖에 없다. 이럴 경우 매크로를 이용한다면 100개, 아니 만개 이상의 양식도 컴퓨터가 자동으로 처리를 할 수 있다. 업무의 효율이 올라감은 물론이거니와 사람의 생산성 있는 업무에 집중할 수 있다는 장점도 존재한다. 매크로를 이용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나뉠 수 있는데, 하나는 엑셀 프로그램에 내장된 '매크로 녹화'기능을 이용하는 방법이며, 나머지 하나는 VBA기능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두 가지의 방법이지만 그 기본내용은 동일하다. 단지 설정하는 방법에서 차이를 보일 뿐이다. 두가지 모두 엑셀 프로그램이 동작할 수 있는 명령어를 마련한 코드들을 진행하는 것으로 코드가 자동으로 입력되는 것을 '매크로 녹화'라 할 수 있고, 모든 코드를 직접 작성하는 것을 VBA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몇몇 명령어를 숙지하고 있다면 VBA를 이용한 방법이 보다 자유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명령어들을 숙지하는 것이 쉬운 것은 아니기에 가볍게 반복되는 작업을 진행하고 싶다면 '매크로 녹화'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이 좋다. 녹화기능을 켠 상태에서 업무를 진행하고, 녹화를 종료하면 다음부터는 그 저장된 기능을 통해 똑같은 업무를 진행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트정 셀의 외각선을 지정한다든지, 서식, 색, 배경, 글꼴 등을 포함한 양식을 한번에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데, 반복적으로 비슷한 양식을 사용하게되는 경우 상당히 큰 편리함을 전해줄 수 있는 기능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세밀한 조작을 위해서는 VBA를 이용한 명령어 수정이 필수적이다. 셀의 범위, 해당 셀의 서식등에 관련된 명령어를 찾아보고 적용해보면 보다 다양한고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기술(技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도학습'의 대표적인 예, iris 분류 체험 방법 (0) | 2020.12.29 |
---|---|
인공지능 기술의 기본적인 3가지 분류 (0) | 2020.12.29 |
블루투스 이어폰을 이용하면 편리한 점이 많아요 (0) | 2020.12.28 |
관상, 인공지능이 볼 수 있을까 (0) | 2020.12.28 |
인공지능 기술과 사진이 만나니, 보다 편리한 기능이 구현되었다. (0) | 2020.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