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연의 여러 현상들 앞에서 인간은 무력할 때가 많습니다. 지진, 해일, 산사태, 화산 폭발, 홍수 등 인류의 과학기술이 발달했다고 해도 아직까지 해결하지 못하는 다양한 자연재해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인류는 자연재해 앞에서 무력하게 당하기만 해야 할까요.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존재하지만 어느 정도의 예측은 가능하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주로 듣게 되는 자연에 대한 예측은 일기예보가 있습니다. 날씨의 변화를 예측해 날씨가 맑을지, 흐릴지 혹은 비가 오는 것에 대한 확률적인 분석이 가능하며, 다양한 곳에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런 예측이 가능한 이유는 다양한 현상들의 데이터를 활용해 일정한 패턴 및 흐름을 파악하기 때문입니다. 아주 미세한 특이점을 발견하고 분석한 데이터가 누적 될 수록 보다 정확한 예측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여담으로, 우리가 흔히 말하는 인공지능 Ai의 경우도 수많은 데이터를 활용해 결괏값을 도출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어떤 현상은 패턴 및 흐름이 존재하며, 특정 현상이 발생하기 전 보이는 특이점인 패턴을 분석하여 예측을 진행하는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통계를 기반으로 한 현상의 분석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영화와 드라마를 비롯한 다양한 문학작품의 종류인 '공상과학' 장르에서는 인공지능 Ai가 만능인 것으로 비춰지곤 합니다. 인간보다 뛰어난 두뇌와 항상 최적의 상태로 작업을 진행하는 모습은 컨디션에 따라 정보를 처리하는데 격차를 보이는 인간에 비해 높은 능력을 가진 것으로 보이곤 합니다. 가능성이 있는 모습이지만 아직까지는 일부의 기능들에 한해서 해당 기능들이 구현되고 있습니다. 원인과 결과에 대한 인과관계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활용되고 있습니다. 해당 기능으로 얻은 결괏값을 100% 신뢰할 수 있을까요.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이미 발생된 현상을 데이터 자료로 만들어 분석이 진행되는 만큼 새로운 현상이 발생된다면 새로운 분석이 진행되어야 합니다. 이런 통계에 대한 분석은 Ai만이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우리 인간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해당 능력을 활용해오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과거 농경사회에서 날씨는 상당히 중요한 부분으로 작용했기에 학자들은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했습니다. 조금 더 가벼운 주제로는 생활에서 발생되는 여러 현상에 대해 자연스러운 예측의 과정을 활용하기도 합니다. 가령 예를 들어, 사냥에서 동물의 진행방향에 맞춰 화살을 쏘는 것과 같습니다. 이는 경험을 통해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예측을 시도하는 모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류가 살아가는 지구환경, 그 중에서도 땅은 우리가 발을 디디고 생활의 터전을 마련하는 것에 상당히 중요한 부분으로 작용하는 요소입니다. 인류가 분류한 자연환경의 이름으로 대륙 혹은 섬이 그것이며, 땅이 있는 곳을 기준으로 인간은 삶을 꾸려나가고 있습니다. 미래에는 어떤 환경에서 생활을 할지 모르나, 현재의 조건에서 땅은 소중한 터전이기도 합니다.
자연재해 중 땅의 움직임으로 발생되는 것을 지진이라고 합니다. 땅을 구성하는 대륙은 맨틀 위에서 일정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 움직임을 통해 땅은 갈라지기도 하며, 부딪쳐 서로가 맞물리기도 합니다. 이 모든 현상은 지진의 한 모습이며, 지진이 강하게 발생되는 경우 그 지역에 살고 있는 동식물(인간을 포함한 모든 것)들은 크고 작은 피해를 보게 됩니다.
인류는 지진이 발생되기 전 이를 예측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문명은 과학기술을 중점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모습이라 할 수 있으며, 객관적인 근거를 토대로 인과관계를 풀어내 예측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물론, 지진을 예측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라고 합니다.
여기서 지진예측에 대한 비과학적인 내용들이 있습니다. 바로 '지진 전조현상'이 그것입니다. 지진 전조현상이란 지진이 발생하기 전 나타나는 다양한 자연적인 현상을 의미하는 표현입니다. 인류의 과학발전에 영감을 얻는 부분은 다름 아닌 자연의 모습입니다. 자연환경에 속하는 동식물들은 인간보다 예민한 감각을 가지고 있다고 전해지며, 이런 감각은 특히나 위기 감지능력에 두드러지는 특징을 보일 수 있습니다. 서로의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 발달된 감각이라 할 수 있으며, 해당 능력은 자연재해에도 나타는 특징들이 있습니다. 이런 모습들에 대한 자료를 '지진 전조현상'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물론, 지진 전조현상은 어디까지나 과학적으로 증명된 부분은 아닐 수 있습니다. 단지 우연에 의해 그러한 반응들이 보였을 수 있으며, 앞으로 객관적인 분석이 필요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단지 하나의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이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지진 전조현상의 반응으로는 다양한 모습들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동식물의 모습이 아닌 경우 지진을 의심해볼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며, 실제로 지진이 발생하기 얼마전 해당 지역에서 포착된 동식물들의 이상반응들이 포착되기도 했습니다. 이는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기도 하며, 해당 자료는 매스컴을 통해서 알려지기도 했습니다.
바다에서 알 수 없는 동물의 떼죽음을 목격한다거나, 알 수 없는 악취가 발생한다거나, 물고기 떼가 뛰는 모습을 보인다거나, 진원지의 밤하늪에 푸른빛이 보이는 지진광이 발생하는 등의 모습이 있습니다. 이미 큰 지진이 발생하기 전 보여줬던 모습들이기에 어느 정도의 높은 신뢰도를 보이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런 현상들이 꼭 지진으로 연결된다는 보장이 없는 만큼 많은 연구를 통해 과학적인 분석과 증명이 동반될 필요성이 있을 것입니다.
'기술(技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프로그램 코딩에서 수학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0) | 2021.05.21 |
---|---|
과학기술의 발달 흐름과 우리 삶에 끼치는 영향. (0) | 2021.05.17 |
스마트폰 화면크기가 아쉬울 때 사용해 볼 수 있는 방법. (0) | 2021.05.13 |
이동에 용의한 외부 저장장치의 종류와 특징. (0) | 2021.05.12 |
인터넷 시작화면 설정으로 웹브라우저 쾌적하게 사용하기. (0) | 2021.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