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經濟)

주식 및 투자를 도와주는 자동 프로그램의 관계

▶◀ 2021. 1. 19. 16:41

주식을 투자하는 것은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의 변화를 모색하는 하나의 투자 방법으로 자리 잡고 있다. 현재의 경우 주가가 다시금 오름세를 보이고 있어 보다 많은 사람들이 주식에 관심을 보일지도 모를 일이다. 국내의 경우 과거에는 주식투자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보다는 부정적인 시가이 높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열심히 공부해서 좋은 직장에 취직해 안정적으로 고수익자가 되는 길을 최고로 여기며, 별도의 투자는 모아둔 재산을 버리는 일이라는 시각이 강했다. 하지만, 세월이 지남에 따라 그에 따른 시각에도 큰 변화를 보이고 있는데 가장 큰 변화는 '투자'라는 행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가져왔다는 것이다. 투자는 미래 가치를 염두에 두고 일정한 금액을 대상에게 지원한다. 그 후, 일정한 시간이 지나 그 가치가 높아졌을 때 발생되는 그 차익이 수익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주식은 한 회사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기업가치를 매긴다. 그 기업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판단되는 회사에 투자자들은 자신의 돈을 넣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자신이 구매한 주식의 가치가 높아졌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다시금 주식을 시장에 팔게 됨으로써 그 차익의 수익을 실현시키는 형태가 대표적이다. 결국, 주식을 구매하고, 적당한 타이밍에 판다라는 반복되는 행동을 하는 것이다. 물론, 그 판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준이 필요하게 된다. 기업의 재무제표나 이슈 등을 언제나 확인하고 그 정보들을 보아서 옳은 판단을 내려야만 손식을 예방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여기서 언급하고자 하는 것은 주식투자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것이기에 보다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다시금 본론으로 들어와 주식투자의 형태는 결과적으로 '산다'와 '판다'라는 반복적인 행동 패턴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설정된 시간, 조건 등에 충족되면 프로그램이 주식을 자동으로 구매하고, 다시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면 프로그램이 알아서 투식을 판매하는 형태가 진행되는 것이다. 여기서 생각해 볼 문제는 구매와 판매가 그렇게 빈번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데 굳이 프로그램이 필요할까라는 생각이다. 너무나 당연한 게 여겨질 수 있는 부분이며 고려해야만 하는 핵심적인 내용이기도 하다. 하나의 예를 생각해 보도록 하겠다. 주식은 시장이 열려있는 시간에만 거래가 성립할 수 있다. 대략적으로 오전 9시에 주식 시장이 오픈되고, 오후 4시쯤 주식시장은 마감을 가지게 된다. 이렇게 정해진 시간은 일반 회사원들에게는 쉽지 않은 시간임이 분명하다. 자신의 본업이 있는 경우에는 정해진 주식 시장의 시간에 자신의 일을 하는 경우가 많을 수밖에 없다. 주식투자의 중요한 부분은 구매와 판매의 적절한 타이밍이라 할 수 있는데, 그 타이밍을 놓치게 되는 것이다. 언제 이슈가 나타날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본업을 던져두고 주식만을 볼 수도 없는 노릇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 프로그램을 설정해두면 자신의 주식투자에 적당한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주식투자를 통해 수익을 발생시키는 것은 단편적인 이야기가 될 수 없다. 단순하게 하나의 회사에만 투자한다고 수익과 연결되는 것은 아니기도 한데, 사람의 욕심이 커짐에 따라 보다 다양한 회사에 분산투자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전문적으로 주식을 진행하는 사람이 아닌 경우에는 많은 회사의 주식을 적절한 타이밍에 구매, 판매를 진행하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이다. 대규모로 진행하고자 하는 투자에도 적당한 프로그램을 활용하면 충분히 긍정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전적으로 프로그램에 의지해서 투자를 진행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없을 것이다. 이 부분은 너무나 당연한 부분인데, 타인의 말만으로 주식과 같은 투자에 뛰어들었다가 손해를 입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 때문이다. 프로그램은 어디까지나 본인의 반복된 작업을 도와주는 것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님을 명심하고 투자에 임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